정부지원정책

K-패스, K패스 환급, 신청방법, 알뜰교통카드와 비교

웰씨라이프2 2024. 1. 19. 16:42

고물가 시대에 교통비마져 올라버린 지금

정부에서 교통비 절감을 위해

내놓은 정책이 있어서 가져와 보았습니다!!

바로 K-패스입니다. 하나씩 어떠한 혜택이 있는지 알아보시죠!

 

 

K-패스?

 

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제도로

대중교통 최대 53%까지 환급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.

원래 7월 예정이었으나 24년 5월부터 조기 시행하기로 했다고 합니다.

 

우리가 자차를 이용하지 않고, 대중교통을 이용해 이동을 했을 때

보통 한 달에 7-10만원 정도의 교통비를 쓰게 됩니다.

이 때 결제액의 일정 부분을 다음달에 환급해 준다고 하는데요.

한 달에 15회 이상 사용할 때 환급을 받아보실 수 있고,

최대 60회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

20~53%까지 환급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
 

10만원에 일반 20%만 환급을 받아도 2만원 인건데요.

결코 적은 금액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.

남들은 다 받는 혜택을 나 혼자 안받을 필요는 없죠?!

본인에게 어떻게 적용이 되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.

 

 

K-패스 환급

 

일반: 20%

청년층: 30%

저소득층: 53%

더불어 카드사 할인 중복 적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.

그럼 기본 환급 비율에 + 카드사 할인 까지 더해진다면

더 큰 금액을 받을 수 있다는 거죠.

 

K-패스 환급

 

 

 

K-패스 적용되는 교통 수단

 

그렇다면 어떤 교통 수단에서 적용이 되는 걸까요?

버스, 지하철만 대부분 생각 하실 텐데요.

그 외에도 GTX-A, 광역 버스 또한 추가 적용 해준다고 합니다.

GTX의 경우 교통비가 좀 비싸서 말들이 많았었는데요. 

혜택을 동일하게 적용 받아 보실 수 있다는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^^

 

 

K-패스에 참여하는 지차체는 전국 189개라고 합니다.

인구수 10만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면

사실상 전국 모든 지자체에서 K-패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

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
 

대중교통을 장려화하기 위해 정부에서 내놓은 정책 이니 만큼

이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겠죠?

 

 

알뜰교통카드 VS K-패스

 

알뜰교통카드를 평소 이용중이신 분들도 계실텐데요.

알뜰교통카드는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해 이동한 거리만큼

마일리지 적립을 해주고, 추가로 할인 혜택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.

 

이동 거리를 측정해야 하다보니 출발/ 도착 시간을 기록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겁니다.

하지만 K-패스는 그러한 번거로움 없이 이용 가능하다는장점이 있습니다 .

 

할인률 또한 K-패스가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.

 

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K-패스로 회원 전환 절차만 거치신다면

별도의 재발급 없이 바로 이용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

 

 

 

알뜰교통카드 VS K-패스

 

K-패스 신청방법

 

모바일이나 실물카드로 신청이 가능 하다고 합니다.

간편하게 모바일을 통해 신청해서 받아뒀다가

혜택을 누려 보시기 바랍니다.

 

  • K-패스 누리집 공식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신청가능
  • 11개의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신청가능
  • 발급 가능 카드사: 신한, 하나, 우리, 현대, 삼성, 비씨 KB국민, NH농협, 티머니, 이동의즐거움, DGB유페이